불면증

불면증은 수면장애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로 잠을 청할 때 잠들기까지 30분 이상 걸리는
입면장애, 잠자는 도중에 자주 깬다거나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수면유지장애, 중간에
잠이 깨면 새벽이라도 다시 잠들지 못하는 조기각성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일반인 중 약 30~35%정도가 반복되는 불면증을 경험하고, 8~10%정도가 매일매일
불면증으로 인해 고생한다고 합니다. 불면증이 지속된 기간에 따라 단기불면증,
만성불면증으로도 구분합니다. 일반적으로 단기불면증은 스트레스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생기게 되고 스트레스만 제거하여도 바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이
제거되지 않은 채 가볍게 생각하다가 증세가 지속되어 만성불면증으로 넘어가게 되는
경우도 많이 있으니 불면증이 있다면 지체하지 말고 상담을 통하여 관리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불면증 원인

불면증은 원인의 종류에 따라 일차성 불면증, 이차성 불면증으로 나뉘게 됩니다.
정신과적 문제나 내과적 또는 신경과적 문제, 약물의 사용이나 사용 중지 등에 의하여 생긴 불면증을 이차성 불면증이라 말하고
이외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생긴 불면증을 일차성 불면증이라 말합니다. 일차성 불면증의 원인 중에서 스트레스나 흡연,
음주 등으로 인한 과도한 각성을 대표적인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불면증의 증상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불면증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은 가슴이 답답하며,
한숨을 잘 쉬고, 식욕부진, 식사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배가 고프지 않고, 꿈을 많이 꾸며,
몸이 전반적으로 피로하고, 두통, 어지러움증, 깜짝깜짝 놀라기를 잘함, 가슴이 두근거림 등등의 증상들이 불면증과 함께 올 수 있습니다.

불면증의 진단 기준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DSM-Ⅳ-TR)의 진단 기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증상들을 보일 시 일차성 불면증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수면 장애 또는 연관되는 낮 동안의 피로감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중요한 기타 기능 영역에서 심각한 고통이나 장애를 일으킵니다.

수면 장애가 기면증, 호흡 관련 수면장애, 일주기리듬 수면장애, 또는 수면 수반증(parasomnia)으로 인한 것이 아닙니다.

장애가 다른 정신 장애(주요 우울장애, 범 불안장애, 섬망 등)로 인한 것

장애가 물질(남용 약물, 투약 약물)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닙니다.

적어도 1개월 동안 수면의 시작이나 수면 유지의 어려움, 또는 원기 회복이 되지 않는 수면을 주로 호소합니다.

한의학적 치료

동의보감에서는 불면증을 양기와 음기의 조화가 맞지 않아 잠을 못자는 虛煩不睡, 정신이 들떠 있어서
잠을 못자는 魂離不睡, 생각이 많아 잠을 잘 수 없는 思結不睡의 세 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최근 한의학에서는 이를 세분화하여 思慮過多(생각이 많은 경우), 心膽虛怯(크게 놀란 이후),
陰虛火動(기력이 쇠약하거나 호르몬 등이 부족한 경우), 肝陽上亢(스트레스를 과도하게 받은 경우),
胃中不和(소화불량으로 인해 고생하는 경우)의 다섯 가지로 보고 있습니다.

思慮過多의 경우 생각을 많이 함으로써 脾臟과 心臟을 자극하여 血을 소모하기 때문에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부족해진 血을 보충해주면서 脾臟과 心臟의 기운을 올려주는 치료를, 心膽虛怯의 경우 크게 놀란 이후
心臟과 膽이 약해졌기 때문에 心臟과 膽을 강화시켜주는 치료를, 陰虛火動의 경우 腎臟의 기능이 약해지면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腎臟을 강화시켜주는 치료를, 肝陽上亢의 경우 스트레스로 인해 肝臟이 손상되면서
나타나기 때문에 肝의 기운을 잡아주는 치료를, 胃中不和의 경우 소화불량으로 胃의 기능이 약해져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胃의 기능을 올려주는 치료를 합니다.

참경희한의원의 진단

참경희한의원의 진단

디나미카 검사

환자분의 신체 상태를 맥박, 호흡 등을 통하여 정확하게 분석해드립니다.

상담

사진(四診)과 복진(腹診)등을 통하여 환자분께 맞는 최선의 치료법을 찾아드립니다.

참경희한의원의 치료

참경희한의원의 치료

침치료

혈자리 자극을 통해 뭉쳐있고 울결되있는 부분을 풀어주어 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약침치료

정제된 한약을 주입하여 울체되어있는 혈자리를 좀 더 빨리 풀어줄 수 있게 해주는 치료방법입니다.

전침치료

전기적 활성이 저하된 근육 및 신경을 자극하여 강화시켜드립니다.

뜸치료

흉복부를 따뜻하게 하여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며 심신을 안정시켜 편안하게 해드립니다

한약

환자분의 체질과 증상에 맞는 한약으로 증상 회복 및 체질 개선에 힘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