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 한의학에서 효천(哮喘)이라고 부르는 천식은 ‘천명(喘鳴)을 동반한 발작적인 호흡곤란 증상’입니다.
천식 자가진단법 ![]() 천식의 원인 ![]() 외인성 천식알레르기 체질을 가진 사람이 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원인이 되는 물질인 집먼지 진드기, 바퀴벌레, 꽃가루, 동물의 털이나 비듬, 곰팡이 등이 기관지로 들어오게 되면 과민 반응을 일으키면서 천식과 관련한 여러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천식 환자의 기관지는 매우 예민하기 때문에 자극을 받으면 기관지 근육이 수축되고, 염증 반응이 일어나 기관지가 좁아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 내인성 천식천식 중 검사 상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를 내인성 천식이라고 합니다. 주로 40대 이후에 발생하며, 외인성과 달리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외부 자극 물질에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며, 체질적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경우 외인성 보다는 내인성 천식이 많습니다. 천식의 증상 호흡곤란, 기침, 천명음이 3대 증상으로, 호흡하기 힘들어지면서 호흡시 쌕쌕 거리는 소리가 나고 잦은 기침이 동반됩니다.
![]() 기침발작적이며, 희고 끈적한 가래가 동반됩니다. 한밤중과 새벽, 또는 운동 후에 기침이 심해집니다. 기침 때문에 잠에서 깨어나며, 발작 시에는 쌕쌕 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느껴집니다. ![]() 호흡곤란천식 발작 시 호흡곤란이 나타납니다. 천식을 오래 앓아 폐 기능이 감소될 경우 천식 발작이 없더라도 활동 시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천명좁아진 기관지로 호흡하면서 공기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천식 발작 시에는 폐 전체에서 천명을 들을 수 있지만 기관지 속의 병변 때문인 경우에는 병이 있는 부위에서만 들립니다. 천식 관리법 ![]() 구강 위생을 청결히 합니다. ![]() 미지근한 물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합니다. ![]() 식사는 적절한 양을 규칙적으로 하고, 과식을 금합니다. ![]() 담배연기, 각종 스프레이, 페인트, 니스 등의 화학물질 등을 멀리합니다. ![]() 지나친 스트레스 자극이나 잦은 술자리 등의 피로 유발 원인들을 피합니다. ![]() 여름이나 겨울철 실내외 온도 많이 차이나지 않도록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합니다. ![]() 운동 시에는 준비운동을 충분히 하고, 찬바람을 쐬지 않도록 하여 적절한 강도로 진행합니다. ![]() 호도, 잣, 해바라기씨 등의 견과류를 꾸준히 섭취합니다. 참경희한의원의 천식 치료법 상세한 문진을 통해 천식의 상태와 발생 원인을 다각적으로 진단합니다. 생활습관, 체질적 소인, 기능이 저하된 장부를 파악하고
![]() 침치료오장육부의 깨진 균형의 원인을 파악하고 나서 약해진 장기를 보강하고, 항진된 장기의 기능을 덜어내는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더불어 폐와 관련된 혈위를 취하여 이지러진 호흡기의 면역기능을 회복하고, 전신 기혈순환을 향상시켜 치료에 대한 반응을 극대화합니다. ![]() 왕뜸치료신체의 정중앙인 복부에 쑥을 사용한 왕뜸으로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온열자극을 통해 전신의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진대사를 활성화하고 오장육부의 기능을 증진시킵니다. ![]() 한약예민해진 호흡기 면역을 되돌리기 위해 폐 기능을 보강하는 한약재를 선별하여 처방합니다. 환자의 체질적으로 부족한 장부의 기능을 보충하고,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울체된 기운을 해소시킵니다. GMP 규격 시설에서 깨끗하게 유통되는 한약재들만 사용합니다.
|